2018년 쑹위안 지진

북위 45° 16′ 동경 124° 43′ / 북위 45.27° 동경 124.71°  / 45.27; 124.71피해사상자없음

2018년 쑹위안 지진(중국어: 2018年松原地震)은 2018년 5월 28일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쑹위안 시 닝장 구 마도우 잔에서 일어난 지진이다. 규모는 표면파 규모로 Ms5.7이며 모멘트 규모 Mw5.3이다.[2] 인명피해는 보고되지 않았다.[4]

피해

쑹위안 시 닝장 구에서 주택 1,500여채가 피해를 입고 일시적인 정전 피해를 입었다.[5][6]

각주

  1. “吉林松原市宁江区5.7级地震” (중국어). 中国地震台网中心. 2018년 5월 28일. 2018년 11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16일에 확인함. 
  2. “M 5.3 - 14km WNW of Fuyu, China”. USGS. 2018년 5월 28일. 2018년 11월 16일에 확인함. 
  3. 宋志刚 (2018년 5월 31일). 李晴, 편집. “松原市5.7级地震烈度图发布” (중국어). 吉林广播网. 2018년 11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16일에 확인함. 
  4. 신경진 (2018년 5월 28일). “중국 동북 지린성 쑹위안시 진도 5.7 강진..여진 61차례”. 동아일보. 2018년 11월 16일에 확인함. 
  5. “M 5.3 - 14km WNW of Fuyu, China”. USGS. 2018년 5월 28일. 2018년 11월 16일에 확인함. 
  6. 한희라 (2018년 5월 28일). “中 동북부 규모 5.7 지진..1000여 가구 붕괴 등 피해 보고”. 헤럴드경제. 2018년 11월 1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 M 5.3 - 14km WNW of Fuyu, China - USGS
  • 611952488 Northeastern China - International Seismological Centre
  • v
  • t
  • e
1월2월4월
5월
6월
7월8월
9월
10월
  • 아이티 포르드페(7일, M5.9)
  • 인도네시아 자와섬(11일, M6.0)
  • 파푸아뉴기니 뉴브리튼섬(11일, M7.0)
  • 그리스 이오니아해(25일, M6.8)
11월
12월
† 30명 이상 사망한 지진  · ‡ 이 해 사망자가 가장 많은 지진  · 지진 규모는 모멘트 규모  · 지진 발생일시는 UTC
  • v
  • t
  • e
역사지진
  • 태산 (기원전 1813년?, M?)
  • 산시성 신저우 (512년, M7.5)
  • 산시성 딩샹 (1038년, M7.25)
  • 광둥성 차오저우 (1067년, M6.5)
  • 지린성 쑹위안 (1119년, M7)
  • 북직례 지역 (1290년, M6.8)
  • 산시성 린펀 (1303년, M8.0)
  • 윈난성 리장 (1515년, M?)
  • 산시성 (1556년, M8.5)
  • 백두산 인근 (1597년, M8)
  • 광둥성 산터우 (1600년, M?)
  • 푸젠선 취안저우 (1604년, M7.5)
  • 광둥성 (1605년, M?)
  • 산둥성 린이 (1668년, M8.5)
  • 산허-핑구 지역 (1679년, M8.0)
  • 퉁웨이-간쑤 지역 (1718년, M7.5)
  • 쓰촨성 캉딩-루딩 지역 (1786년, M7.75)
  • 윈난성 쑹밍 (1833년, M8.0)
  • 충칭 (1856년, M?)
  • 간쑤성 우두 (1879년, M8.0)
20세기
  • 지린성 왕칭 (1902년, M6.6)
  • 광둥성 산터우 (1918년, M7.2)
  • 닝샤성 하이위안 (1920년, M8.3)
  • 윈난성 다리 (1925년, M7.0)
  • 간쑤성 구랑 (1927년, M8.0)
  • 신장성 푸윈 (1931년, M8.0)
  • 간쑤성 주취안 (1932년, M7.6)
  • 간쑤성 창마 (1932년, M7.6)
  • 쓰촨성 뎨시 (1933년, M7.3)
  • 산둥성 허쩌 (1937년, M7.0)
  • 헤이룽장성 둥닝 (1940년, M7?)
  • 압록강 하구 (1944년, M6.8)
  • 티베트-아삼 경계 (1950년, M8.6)
  • 티베트 당슝 (1952년, M7.5)
  • 쓰촨성 유자 (1955년, M6.8)
  • 광동성 광저우 (1962년, M6.1)
  • 허베이성 싱타이 (1966년, M7.2)
  • 보하이만 해역 (1969년, M7.4)
  • 광둥성 양장 (1969년, M6.4)
  • 윈난성 퉁하이 (1970년, M7.5)
  • 쓰촨성 루훠 (1973년, M7.9)
  • 지린성 왕칭 (1973년, M7.8)
  • 윈난성 다관 (1974년, M7.1)
  • 랴오닝성 하이청 (1975년, M7.5)
  • 윈난성 룽링 (1976년, M7.3)
  • 쓰촨성 쑹판-핑우 (1976년, M6.7)
  • 허베이성 탕산 (1976년, M7.5)
  • 쓰촨성 다오푸 (1981년, M6.8)
  • 윈난성 루취안 (1985년, M6.3)
  • 신장 우차 (1985년, M7.4)
  • 윈난성 란창-겅마 (1988년, M7.6)
  • 칭하이성 궁허 (1990년, M7.0)
  • 윈난성 우딩 (1995년, M6.2)
  • 윈난성 리장 (1996년, M7.0)
  • 내몽골 바오터우 (1996년, M6.4)
  • 신장 가스 (1997년, M6.4)
  • 티베트 마니 (1997년, M7.9)
  • 허베이성 장베이 (1998년, M6.2)
  • 윈난성 닝랑 (1998년, M6.2)
  • 지린성 왕칭 (1999년, M7.0)
  • 윈난성 야오안 (2000년, M5.9)
21세기
  • 티베트 쿤룬산맥 (2001년, M8.2)
  • 지린성 왕칭 (2002년, M7.2)
  • 신장 가스-마랄베시 (2003년, M6.3)
  • 신장 자오쑤 (2003년, M6.0)
  • 장시성 차이쌍 (2005년, M5.7)
  • 윈난성 옌진 (2006년, M5.1)
  • 쓰촨성 (쓰촨 대지진) (2008년, M8.2)
  • 윈난성 더훙 (2008년, M5.9)
  • 쓰촨성 판즈화 (2008년, M6.1)
  • 티베트 당슝 (2008년, M6.4)
  • 윈난성 야오안 (2009년, M5.7)
  • 윈난성 위수 (2010년, M7.1)
  • 광둥성 선전 (2010년, M3.8)
  • 윈난성 잉장 (2011년, M5.8)
  • 윈난성 이량 (2012년, M5.7)
  • 쓰촨성 야안 (2013년, M7.0)
  • 간쑤성 딩시 (2013년, M6.6)
  • 지린성 첸궈얼뤄쓰 (2013년, M5.8)
  • 신장 케리야 (2014년, M7.3)
  • 윈난성 잉장 (2014년, M6.1)
  • 윈난성 루뎬 (2014년, M6.5)
  • 윈난성 징구 (2014년, M6.6)
  • 쓰촨성 캉딩 (2014년, M6.3)
  • 신장 피산 (2015년, M6.4)
  • 신장 아커타오 (2016년, M6.7)
  • 쓰촨성 주자이거우 (2017년, M7.0)
  • 신장 징허 (2017년, M6.3)
  • 쓰촨성 칭촨 (2017년, M5.4)
  • 티베트 미린 (2017년, M6.9)
  • 지린성 쑹위안 (2018년, M5.3)
  • 윈난성 퉁하이 (2018년, M5.0)
  • 쓰촨성 이빈 (2018년, M5.7)
  • 쓰촨성 쯔궁 (2019년, M4.9)
  • 쓰촨성 이빈 (2019년, M6.0)
  • 쓰촨성 네이장 (2019년, M5.4)
  • 간쑤성 샤허 (2019년, M5.7)
  • 신장 카슈가르 (2020년, M6.4)
  • 주강 삼각주 (2020년, M3.5)
  • 윈난성 차오자 (2020년, M5.0)
  • 허베이성 탕산 (2020년, M5.1)
  • 윈난성 양비 (2021년, M6.4)
  • 칭하이성 마둬 (2021년, M7.4)
  • 윈난성 루현 (2021년, M5.4)
  • 칭하이성 먼위안 (2022년, M6.9)
  • 쓰촨성 야안 (2022년, M5.8)
  • 쓰촨성 루딩 (2022년, M6.8)
  • 산둥성 핑위안 (2023년, M5.5)
  • 간쑤성 지스산 (2023년, M5.9)
  • 신장 우스 (2024년, M7.0)